공부 일지(개발)/JAVASCRIPT

JAVASCRIPT 독학 (1일차)|웹 개발자 준비

inzero98 2025. 2. 10. 18:09
반응형

1. 변수 (variable)
    - 3가지의 예약어

  • var
  • let 
  • const (고정시켜야 하는 변수의 값을 선언할 때 사용)
let color = "black"

console.log(color)

위 코드를 살펴보면

let : 변수를 선언하는 것 (변수는 고유 값을 사용하므로 같은 이름을 가진 변수는 존재할 수 없다)

color : 변수 이름

= :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집어 넣는다는 의미

 

  • var과 let의 차이
    var : 자바스크립트의 초기 예약어
    let : 2015년 ES6 업데이트 이후 const과 같이 추가된 예약어

    let이 나온 이유 : var 예약어에 문제가 있기 때문
    자바스크립트는 컴파일을 하면서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선언된 변수와 함수를 가져와 메모리에 저장하는데
    이것을  '호이스팅'이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console.log() 아래 var 변수가 있으면 에러가 생겨야 되지만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undefined가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추가로 초기화를 먼저 한 후 선언을 해도 허용이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var 예약어는 전역변수와 지역변수의 개념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for문에서 쓰인 변수 i도 for문 밖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제가 생기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된 에약어가 let이다.

    let은 호이스팅 될 때 Temporal Death Zone(TDZ를 만들어서 해결한다.
    그러므로 var보다는 let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자료형

    - 값의 종류를 의미

  • String 타입
    String 타입은 문자열 타입으로 문장 또는 글자와 같은 모든 것들을 의미
    String 타입을 사용할 때는 큰따옴표(" ")안에 데이터를 입력
  • 숫자 타입
    String 타입과 다르게 큰따옴표(" ")를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숫자만 이용
    정수, 음수, 소수점 모두 사용 가능
  • boolean 타입
    true와 false 두 가지의 값만 존재
    논리연산을 할 때 많이 사용

 

3. 연산자

  • 기본 연산자
연산자 사용 예시 설명
- a = - b
a = b - c
b값이 양수이면 음수로, 음수이면 양수로 변환
b에서 c를 뺀 값을 a에 저장
+ a = b + c b와 c의 합을 a에 저장
* a = b * c b와 c의 곱을 a에 저장
/ a = b / c b를 c로 나눈 목을 을 a에 저장
% a = b % c b를 c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a에 저장
++ a = ++b b 값에 1을 더한 값을 a에 저장
-- a = --b b 값에 1을 뺀 값을 a에 저장

 

  • 단축된 연산자
연산자 설명
a += b a 변수의 값에 b값을 더합니다 ( a=a+b 와 같음)
a -= b a 변수의 값에 b값을 뺍니다 ( a=a-b 와 같음)
a *= b a 변수의 값에 b값을 곱합니다 ( a=a*b 와 같음)
a /= b a 변수의 값에 b값을 나눕니다 ( a=a/b 와 같음)
a %= b a 변수의 값에 b값을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 a=a%b 와 같음)
  • 관계 연산자
연산자 사용 예시 설명
== a == b a와 b의 값이 같은지 비교
=== a === b a와 b의 값뿐만 아니라 자료형도 같은지 비교
!= a != b a와 b의 값이 다른지 비교
> a > b a가 b보다 큰지 비교
>= a >= b a가 b보다 크거나 같은지 비교
< a < b a가 b보다 작은지 비교
<= a <= b a가 b보다 작거나 같은지 비교
  • 논리 연산자
연산자 사용 예시 설명
&& a && b and 연산, a와 b 둘 다 참일 때만 참이다.
|| a || b or 연산, a와 b 둘 중에 하나라도 참이면 참이다.
! !a not 연산, a가 참이면 거짓이 되고, 거짓이면 참이 된다.

 

 

  • 추가로 중요한 연산자
// 증가연산
let a =1
a++ // a=a+1과같다 
console.log(a)// 2

//감소연산
let b =2 b-- // b=b-1과 같다
console.log(b) // 1 

//단축된 연산자
let c =1
c+=3 // c=c+3을 줄여서 표현한 것이다
console.log(c)//4

let d = 3
d-=2 // d=d-2를 줄여서 표현한 것이다 
console.log(d)//1

// NOT 연산자 : 어떤값의 반대되는 값을 반환 true 면 false를, false면 true를 반환 
let f = true
console.log(!f) // false 

// 같다라는 표현은 ==  
let x = 2
let y =2 console.log(x == y)// true

//다르다라는 표현은 != 
console.log(x != y)//fals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