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일지(개발)/JAVASCRIPT

JAVASCRIPT 독학 (2일차)|웹 개발자 준비

by inzero98 2025. 2. 11.
반응형

1. 배열
    - 여러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담고싶을 때 사용

2. 인덱스

    - 배열에 들어가는 아이템에는 모두 인덱스 번호가 부여된다.

    - 시작점은 0부터 부여된다.
    - 인덱스 번호로 배열에 있는 아이템에 접근할 수 있다.

예시)

let array = ["apple","banana","mango"] // 인덱스번호 0,1,2
console.log(array[0]) // apple 프린트
array[1]="grape"
console.log(array)// ["apple","grape","mango"] 가 나옴

 

3. 배열 함수

  • pop() : 배열 끝에 있는 아이템을 제거
  • push("아이템") : 배열 끝에 아이템 추가, 배열의 최종 길이 리턴
  • includes("아이템") : 배열에 아이템이 포함되어있으면 true리턴 아니면 false 리턴
  • indexOf("아이템") : 아이템 인덱스 번호를 리턴
  • slice (시작점, 끝점) : 시작점 ~ 끝점(끝점은 미포함)까지 배열을 복사해서 리턴
  • splice(시작점, 개수) : 시작점부터 개수만큼 실제 배열에서 아이템 제거

  • length : 배열 함수는 아니지만 배열의 크기를 리턴해주는 속성
    예시)
let test = ["a","b","c"]
console.log(test.length) // 3이 나옴, 배열에 아이템이 총 3개라서

 

반응형